문제
요세푸스 문제는 다음과 같다.
1번부터 N번까지 N명의 사람이 원을 이루면서 앉아있고, 양의 정수 K(≤ N)가 주어진다. 이제 순서대로 K번째 사람을 제거한다. 한 사람이 제거되면 남은 사람들로 이루어진 원을 따라 이 과정을 계속해 나간다. 이 과정은 N명의 사람이 모두 제거될 때까지 계속된다. 원에서 사람들이 제거되는 순서를 (N, K)-요세푸스 순열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7, 3)-요세푸스 순열은 <3, 6, 2, 7, 5, 1, 4>이다.
N과 K가 주어지면 (N, K)-요세푸스 순열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N과 K가 빈 칸을 사이에 두고 순서대로 주어진다. (1 ≤ K ≤ N ≤ 1,000)
출력
예제와 같이 요세푸스 순열을 출력한다.
예제 입력
7 3
예제 출력
<3, 6, 2, 7, 5, 1, 4>
나의 풀이
#11866문제 실버 5 요세푸스0 문제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if __name__ == "__main__":
N,K = map(int, input().split())
Arr = []
for i in range(1,N+1):
Arr.append(i)
queue = deque(Arr)
cnt = 1
ans = []
while len(queue) != 0:
if cnt % K == 0:
m = queue.popleft()
ans.append(m)
else:
num = queue.popleft()
queue.append(num)
cnt += 1
An = [*map(str, ans)]
print("<" + ", ".join(An) +">")
요세푸스 문제는 큐를 활용하면 쉽게 풀 수 있습니다
파이썬에서는 컬렉션 패키지 안에 큐 메소드가 구현이 되어 있어서 deque를 사용한다면 popleft(), appendleft()도 사용을 할 수 있습니다
이 문제를 푸는데 있어서 맨 앞에 요소를 빼내는 작업을 해야 하는데 deque를 사용하면 popleft()를 활용해서 아주 쉽게 빼낼 수 있어서 사용했습니다 K counter가 될 때마다 큐에서 값을 빼어서 리스트에 집어넣는 식으로 문제 알고리즘을 구성해서 해결했습니다
큐에 대한 개념(FIFO)을 이해한다면 쉽게 해결할 수 있었습니다
'알고리즘 > 문제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10866번 덱 - Python (0) | 2023.02.20 |
---|---|
백준 2751번 수 정렬하기2 - Python (0) | 2023.02.20 |
백준 11650번 좌표 정렬하기 - Python (0) | 2023.02.19 |
백준 10828번 스택 - Python (0) | 2023.02.19 |
백준 4153번 직각삼각형 - Python (0) | 2023.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