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숫자 카드는 정수 하나가 적혀져 있는 카드이다. 상근이는 숫자 카드 N개를 가지고 있다. 정수 M개가 주어졌을 때, 이 수가 적혀있는 숫자 카드를 상근이가 몇 개 가지고 있는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상근이가 가지고 있는 숫자 카드의 개수 N(1 ≤ N ≤ 50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에는 숫자 카드에 적혀있는 정수가 주어진다. 숫자 카드에 적혀있는 수는 -10,000,000보다 크거나 같고, 10,000,000보다 작거나 같다.
셋째 줄에는 M(1 ≤ M ≤ 500,000)이 주어진다. 넷째 줄에는 상근이가 몇 개 가지고 있는 숫자 카드인지 구해야 할 M개의 정수가 주어지며, 이 수는 공백으로 구분되어져 있다. 이 수도 -10,000,000보다 크거나 같고, 10,000,000보다 작거나 같다.
출력
첫째 줄에 입력으로 주어진 M개의 수에 대해서, 각 수가 적힌 숫자 카드를 상근이가 몇 개 가지고 있는지를 공백으로 구분해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10
6 3 2 10 10 10 -10 -10 7 3
8
10 9 -5 2 3 4 5 -10
예제 출력 1
3 0 0 1 2 0 0 2
이 문제는 해싱의 개념을 이해하고 풀 수 있는가를 물어보는 문제였습니다
해싱을 가장 쉽게 표현하는 것은 파이썬의 딕셔너리, 자바스크립트의 오브젝트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습니다
해당 키 값에 대응되는 값을 통해서 내가 원하는 데이터를 찾게 되는 형태 입니다. 해싱에 대해서 자세한 내용은 별도의 개념 공부에 정리해보겠습니다
저의 풀이는 이렇습니다
N = int(input())
firstList = [];
secondList = []
firstList = [*map(int, input().split())]
M = int(input())
secondList = [*map(int, input().split())]
numberDict = {}
for i in range(N):
if firstList[i] in numberDict:
numberDict[firstList[i]] += 1
else:
numberDict[firstList[i]] = 1
for i in range(M):
if secondList[i] in numberDict:
print(numberDict[secondList[i]], end=' ')
else:
print(0, end=' ')
채점 결과가 느리다면, 그건 입력 속도가 느려서 그런 것일 수 있으므로 맨 윗 줄에 impory sys 그 다음줄에 input()대신에 sys.stdin.readline()을 사용하시면 되겠습니다
readline().split()도 잘 작동되므로 input함수만 치환해주면 됩니다
input()를 이후에 꼭 써야 하는 것도 아니고 기존에 input으로 썼는데 귀찮다면 input= sys.stdin.readline으로 미리 선언해주어서
아래에서 input()이 내부적으로는 sys.stdin.readline()으로 작동되도록 할 수 있습니다
'알고리즘 > 문제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9012번 괄호문제 - Python (0) | 2023.02.24 |
---|---|
백준 2164번 카드2 - Python (0) | 2023.02.24 |
백준 10814번 나이순 정렬 - Python (0) | 2023.02.23 |
백준 11050번 이항계수1 - Python (0) | 2023.02.22 |
백준 10845번 큐 - Python (0) | 2023.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