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N장의 카드가 있다. 각각의 카드는 차례로 1부터 N까지의 번호가 붙어 있으며, 1번 카드가 제일 위에, N번 카드가 제일 아래인 상태로 순서대로 카드가 놓여 있다.
이제 다음과 같은 동작을 카드가 한 장 남을 때까지 반복하게 된다. 우선, 제일 위에 있는 카드를 바닥에 버린다. 그 다음, 제일 위에 있는 카드를 제일 아래에 있는 카드 밑으로 옮긴다.
예를 들어 N=4인 경우를 생각해 보자. 카드는 제일 위에서부터 1234 의 순서로 놓여있다. 1을 버리면 234가 남는다. 여기서 2를 제일 아래로 옮기면 342가 된다. 3을 버리면 42가 되고, 4를 밑으로 옮기면 24가 된다. 마지막으로 2를 버리고 나면, 남는 카드는 4가 된다.
N이 주어졌을 때, 제일 마지막에 남게 되는 카드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정수 N(1 ≤ N ≤ 500,000)이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에 남게 되는 카드의 번호를 출력한다.
예제 입력
6
예제 출력
4
이 문제는 이전에 포스팅했던 요세푸스 문제, 덱 문제를 풀어본 이들에게는 더 쉬운 난이도의 문제였을 거 같습니다. 이 문제도 덱(deque)를 활용할 수 있는가를 물어본 문제였습니다. 문제흐름을 따라서 코드로 작성하면 해결할 수 있습니다
문제 흐름대로 따라가면 일단 리스트의 맨 앞에서 한개를 빼내고 그 다음 빼낸 수를 맨 뒤로 보내는 식으로 하되 맨 마지막 남은 수를 출력하라는 것이었습니다. 입력값을 보시면 N이 1부터 되기때문에 N이 1일때의 경우를 고려해서 짜야했습니다 그래서 While문이 작동하는 조건을 1보다 클 경우로 잡아서 1개 있을 경우에는 값을 빼내고 뒤로 넣는 작업 자체가 없이 그냥 바로 출력되도록 하였습니다
문제를 풀 때 입력값의 조건을 통해서 문제를 풀 때 고려해야할 부분을 찾을 수 있었습니다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N = int(input())
m = deque()
for _ in range(N):
m.append(_+1)
while len(m) > 1:
m.popleft()
t = m.popleft()
m.append(t)
print(m[0])
'알고리즘 > 문제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1251번 단어나누기 - Python (0) | 2023.02.25 |
---|---|
백준 9012번 괄호문제 - Python (0) | 2023.02.24 |
백준 10816번 숫자카드 2 - Python (0) | 2023.02.23 |
백준 10814번 나이순 정렬 - Python (0) | 2023.02.23 |
백준 11050번 이항계수1 - Python (0) | 2023.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