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팀 레드시프트는 대회 준비를 하다가 지루해져서 샌드박스 게임인 ‘마인크래프트’를 켰다. 마인크래프트는 1 × 1 × 1(세로, 가로, 높이) 크기의 블록들로 이루어진 3차원 세계에서 자유롭게 땅을 파거나 집을 지을 수 있는 게임이다.
목재를 충분히 모은 lvalue는 집을 짓기로 하였다. 하지만 고르지 않은 땅에는 집을 지을 수 없기 때문에 땅의 높이를 모두 동일하게 만드는 ‘땅 고르기’ 작업을 해야 한다.
lvalue는 세로 N, 가로 M 크기의 집터를 골랐다. 집터 맨 왼쪽 위의 좌표는 (0, 0)이다. 우리의 목적은 이 집터 내의 땅의 높이를 일정하게 바꾸는 것이다. 우리는 다음과 같은 두 종류의 작업을 할 수 있다.
- 좌표 (i, j)의 가장 위에 있는 블록을 제거하여 인벤토리에 넣는다.
- 인벤토리에서 블록 하나를 꺼내어 좌표 (i, j)의 가장 위에 있는 블록 위에 놓는다.
1번 작업은 2초가 걸리며, 2번 작업은 1초가 걸린다. 밤에는 무서운 몬스터들이 나오기 때문에 최대한 빨리 땅 고르기 작업을 마쳐야 한다. ‘땅 고르기’ 작업에 걸리는 최소 시간과 그 경우 땅의 높이를 출력하시오.
단, 집터 아래에 동굴 등 빈 공간은 존재하지 않으며, 집터 바깥에서 블록을 가져올 수 없다. 또한, 작업을 시작할 때 인벤토리에는 B개의 블록이 들어 있다. 땅의 높이는 256블록을 초과할 수 없으며, 음수가 될 수 없다.
입력
첫째 줄에 N, M, B가 주어진다. (1 ≤ M, N ≤ 500, 0 ≤ B ≤ 6.4 × 107)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각각 M개의 정수로 땅의 높이가 주어진다. (i + 2)번째 줄의 (j + 1)번째 수는 좌표 (i, j)에서의 땅의 높이를 나타낸다. 땅의 높이는 256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 또는 0이다.
출력
첫째 줄에 땅을 고르는 데 걸리는 시간과 땅의 높이를 출력하시오. 답이 여러 개 있다면 그중에서 땅의 높이가 가장 높은 것을 출력하시오.
예제 입력 1
3 4 99
0 0 0 0
0 0 0 0
0 0 0 1
예제 출력 1
2 0
맨 오른쪽 아래의 블록을 제거하면 모두 높이가 0으로 고른 상태가 된다. 따라서 블럭을 한 번 제거하는 시간 2초가 소요된다.
예제 입력 2
3 4 1
64 64 64 64
64 64 64 64
64 64 64 63
예제 출력 2
1 64

인벤토리에 블록이 하나 있기 때문에, 맨 오른쪽 아래에 블록을 하나 채우면 된다.
예제 입력 3
3 4 0
64 64 64 64
64 64 64 64
64 64 64 63
예제 출력 3
22 63
인벤토리가 비어 있기 때문에, 맨 오른쪽 아래를 제외한 모든 좌표에서 블록을 하나씩 제거해야 한다.
위 문제를 접근하는데 있어서 브루트포스로 해결해야 했습니다.
브루트포스의 뜻처럼 무식하게 모든 것을 다 해보는 것입니다. 그래서 전체를 다 돌면서 각 층에서 전체 땅에 파야할 땅과 쌓아야 할 땅의 수를 파악하여 가장 최소의 시간이 걸리는 곳을 찾습니다.
문제를 해결한 연산 파트는 동일하되 문제의 정답을 표현하기 위한 부분을 달리해서 문제를 2번 풀어봤습니다.
max()함수를 활용하여 큰 값만을 저장하도록 한 방식
import math
import sys
N, M, B = map(int, sys.stdin.readline().strip().split())
problemList = [[*map(int, sys.stdin.readline().strip().split())] for _ in range(N)]
inventoryMineral = B
caveMineral = 0
needMineral = 0
elapsedTime = 0
ansTime = math.inf
ansFloor = -1
for floor in range(256):
for i in range(N):
for j in range(M):
if problemList[i][j] >= floor:
caveMineral += problemList[i][j] - floor
else:
needMineral += floor - problemList[i][j]
if needMineral > inventoryMineral + caveMineral: # 해당 층으로는 고르게 할 수 없음
continue
elapsedTime = caveMineral * 2 + needMineral * 1
ansTime = min(ansTime, elapsedTime)
if elapsedTime == ansTime:
ansFloor = floor
# 순회 전 초기화 코드
elapsedTime = 0
caveMineral = 0
needMineral = 0
print(ansTime,ansFloor)
list에 후보군 층과 시간들을 집어넣고서 sorting을 통해서 1순위에 해당하는 값만을 출력하는 방식
import sys
N, M, B = map(int, sys.stdin.readline().strip().split())
problemList = [[*map(int, sys.stdin.readline().strip().split())] for _ in range(N)]
inventoryMineral = B
caveMineral = 0
needMineral = 0
elapsedTime = 0
ansCandidate = []
for floor in range(256):
for i in range(N):
for j in range(M):
if problemList[i][j] >= floor:
caveMineral += problemList[i][j] - floor
else:
needMineral += floor - problemList[i][j]
if needMineral > inventoryMineral + caveMineral: # 해당 층으로는 고르게 할 수 없음
continue
elapsedTime = caveMineral * 2 + needMineral * 1
ansCandidate.append((elapsedTime, floor))
# 순회 전 초기화 코드
elapsedTime = 0
caveMineral = 0
needMineral = 0
ans = sorted(ansCandidate, key=lambda x: (x[0], -x[1]))
print(ans[0][0], ans[0][1])
위 두 문제는 백준에서 Python3로는 시간초과가 발생합니다. Python3 자체가 무겁고 실행하는 동작에 느린 부분이 있어서 그렇습니다. 대신 PyPy를 이용하면 정답처리가 됩니다
"PyPy"라는 용어는 파이썬 인터프리터의 대안 구현체 중 하나입니다. PyPy는 Just-In-Time 컴파일러를 사용하여 파이썬 코드를 실행하므로, 일반적으로 CPython보다 더 빠른 실행 속도를 제공합니다. 그래서 PyPy를 이용하여 해결이 가능합니다.
'알고리즘 > 문제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1003번 피보나치 함수 - Python (0) | 2023.03.09 |
---|---|
백준 2805번 나무자르기 - Python (0) | 2023.03.08 |
백준 2108번 통계학 - Python (0) | 2023.03.07 |
백준 4949번 균형잡힌 세상 - Python (0) | 2023.03.06 |
백준 11651번 좌표 정렬하기2 - Python (0) | 2023.03.05 |